게임을 개발하는 사람들
흔히 비디오 게임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사람들을 말한다.
IT 업계에서는 프로그래머나 개발자와 같이 부르지만 게임 업계는 개발이라는 영역과 관련된 모든 직군을 통칭한다.
개발자, 게이머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게임을 즐기는 것 그리고 게임을 만드는 것 이것은 전혀 다른 세계의 이야기이다. 게임이 대중적인 문화의 하나로 인식되고 그 자리를 굳건히 잡게 되면서 게임을 만드는 사람들의 수요 또한 늘어났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게임개발자가 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게임을 만들려는 사람들도 늘어났지만 직점 게임을 만들어보려 발을 딛는 사람들은 현실의 문 앞에 꿈을 내려놓기 바쁘다. 단지 게임을 좋아하니까 게임도 잘 만들 수 있겠지 하는 마음으로는 그 경계가 확실하다는 것. 게임을 만드는 회사가 프로그래머를 고용한다고 하면 그들의 학력, 실력을 당연히 확인하고 거른다.
개발자가 되기 위해 다양한 능력들이 필요하다. 커뮤티케이션 능력은 협업을 통해 기술을 개발하고 게임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통합적인 일을 수행하는데 필수이다. 혼자 만들 수 있는 게임이 아닌 스케일이 큰 게임을 원하고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팀으로 구성된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한데 모여야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을 중재하고 같은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학력과 관련된 내용의 검증은 개발 분야마다 다를 수 있다고 본다. 기획,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학력과 포트폴리오가 중요할 수 있겠지만 그래픽 부분은 실력만 있다면 학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사운드 부분을 예로 들자면 대기업처럼 내부에 음악담당 부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뽑지 않고 협력업체로 일을 맡긴다. 개발 과정에서 외국어 능력은 어떠한가? 영어나 일어로 구성되어 있는 웹 문서를 읽고 분석하며 국내에서 얻을 수 없는 지식을 쌓기 위해서는 외국어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게임 제작에서 재능과 열정 근성 모두 중요하다. 프로그래머들이 한 게임을 만들기 위해서 쏟는 열정, 시간은 어마어마하다. 게임을 즐기는 사람과 게임을 만드는 사람은 확실히 다르다.
우리나라에서의 게임에 대한 인식이나 이미지는 어떻거 같은가? 어린 학생들의 지갑을 터는 마약 같은 존재, 달갑지 않은 시선 국내에서 문화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교육이 최고의 길인 듯 여겨지던 시절부터 부정적인 이미지는 여전하다고 본다. 다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나의 문화로 스포츠로 인식되고 있는 부분이 있기에 미래의 이미지까지 부정적일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게임산업에 대한 외국에서의 이미 와는 다른 이미지로 출발한 한국의 게임산업은 그러한 이미지를 탈피하여 새로운 변화된 이미지로 충분히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게임을 콘텐츠로 만드는 크리에이터들
유튜브에서 게임을 주요 콘텐츠로 기획하고 방송하는 유튜버들의 구독자가 인상깊게 높다. 대충매체의 또 다른 이름인 유튜브는 게임의 마케팅을 도울 뿐만 아니라 유입된 시청자 수에 비례한 수익구조에 따른 자체적인 마케팅이나 행사 등을 진행하기도 하기에 개발자들과 유저의 상호작용도 활발하다고 평가된다.
게임 제작자와 게임 운영자
이 프로듀서는 개발팀이나 운영팀이냐에 따라 다른데 운영팀의 경우에는 사업적인 결정을 개발팀의 경우에는 일정 진행이나 문제 보고와 같은 일을 다룬다.
게임 운영자들은 게임 유저들이 플레이 하는 게임 진행사항을 모니터링하고 문제에 개입하는 등의 일을 처리한다.
엔지니어나 프로그래머 등으로 불리는 시스템 개발자는 말 그대로 이들이 없다면 게임의 제작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게임도 프로그램이고 프로그래머가 없다면 작업 자체를 들어갈 수가 없다. 게임제작에 필요한 인력 중 가장 필수인력이고 게임 개발 기업에서의 개발팀 직종 가운데에서도 연봉이 당연 탑이다. 투자되는 비용 중 프로그래머에게 지급되는 비율이 높고 가장 좋은 대우를 받는다.
게임의 품질을 평가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는지 게임의 전반적인 지향점이 구축되고 있는지 부족한 점이나 버그는 없는지에 대해 관리하고 보고하는 엔지니어들은 개발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한다.
게임에서 베타 테스트를 한다고 광고하면서 유저의 유입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회사 입장에서는 만들어진 게임의 여러 데이터를 취합하고 비전문가답게 플레이하는 시도들로 부터 찾아낼 수 있는 것들을 확인한다.
게임하면 요즘 빠질 수 없는 애니메이션 CG 아트와 관련된 부분은 아티스트들이 담당하고 게임 개발팀에서는 이들을 디자이너 기획자로 부른다.
게임음악 음향 보이스를 입히는 작업은 레코딩 믹싱 등 음향 관련 엔지니어의 역할로 커버된다.
웰메이드 게임에서는 캐릭터가 말하는 대사들이 유명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특별한 대사들은 성우의 맛깔난 음색이 더해져 더욱 생생히 들린다. 전문적인 목소리 연기만으로 게임과 애니메이션의 활력을 더해주는 이들은 게임 개발단계에서 감초 같은 역할을 한다.
게임 개발자가 되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게임 개발자가 되기 위한 언어 게임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기에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컴퓨터 언어로 C++, C#, Java 등이 사용되고 이러한 언어에 대한 기본지식을 쌓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Python
- Javascript
- Java
- C++
- C#
- Ruby
- Swift
- Kotlin
- PHP
- Go(Golang)
- Rust
- TypeScript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택은 프로젝트의 목적과 특성 그리고 개발 환경, 개발자가 어떠한 프로그램을 선호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여러 언어를 배우고 익히는 것은 개발자의 실력을 높이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직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이야기, 교사 (1) | 2024.01.06 |
---|---|
직업이야기, 야구선수 (0) | 2024.01.05 |
직업이야기, 웹툰 작가 (0) | 2024.01.04 |
직업이야기, 비즈니스 분석가 (0) | 2024.01.02 |
직업이야기, 전자 당뇨 측정 계측기 개발자 (0) | 202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