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데이터를 지켜내는 즉, 데이터를 위조하거나 변조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암호화폐라는 이름으로 친숙하게 다가옵니다.
블록체인 기술, 용어가 처음이라면 익숙하지 않아 무슨 뜻인지 와닿다 않는다. 간단히 말하면 수많은 기록의 묶음, 블록들의 집합체 이를 블록체인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들의 거래 기록을 서로 비교하여 위변조를 막을 수 있다. 블록체인=암호화폐?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그리고 개념을 처음으로 구현해 낸 것이 비트코인이다. 따라서 블록체인은 암호화폐다라고 이해하는 것이 아닌 그 둘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이해하는 것이 옳다. 크게 보자면 블록체인 기술로 암호화폐의 일부인 비트코인이 실증적으로 구현되었기에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이용하면 다른 응용된 서비스나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는 말과 같아진다.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이란 무엇일까? 사용허가가 인정된 사용자만이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말한다. 앞서 블록체인 기술은 모든 사용자의 기록을 묶고 그 블록들을 비교하여 위변조를 막는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모든 사용자의 기록을 열람하게 된다면 그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들이 모두에게 오픈된다는 말과 같은데 이는 보안을 지켜내기는 커녕 보안이라는 말을 쓰기에도 올바른 상황이 아니게 된다. 네트워크상에서의 거래가 발생하고 이를 공개해서는 안 되는 특별한 장소 금융권을 비롯한 다양한 곳에서 도입되어 사용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도입되고 개발과 개선 보안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의 치명적인 맹점은 여전해 존재한다. 이러한 맹점을 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공격하고 자금손실을 본 사례가 있다.
자랑스럽게도 최근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에서 한국이 블록체인과 관련된 표준화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국내 대학 및 기업을 비롯하여 12개국에서 참여했다고 알려져 있는 이 컨소시엄에서는 블록체인의 암호화폐 분야에서의 보안성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은행에서 시스템을 도입을 고려하는 등의 긍정적인 시너지를 위한 성과에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 실제적으로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국민은행의 계좌등 편의적인 시스템이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하니 성큼 기술의 발전이 코앞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분이 든다.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전문가들이 끊임없이 노력하고 시장과 산업에서의 가치가 인정되는 한 발전은 계속되리라 생각된다. 맹점이 있고, 사건이 있었으며 사건의 해결이 있다는 증거는 치명적인 결함에 대한 보완이 가능하다는 반증이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전문가?
블록체인을 업으로 삼는 일을 하는 전문가라고 불리우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는가? 누구든지 오픈할 수 있는 장부 거래 내용을 공식적으로 기록하며 여러 컴퓨터에 복제하여 저장하는 기술을 일컬어 블록체인 기술이라고 합니다. 블록체인 전문가는 이런 분야와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설계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실제 하지 않는 즉 사이버상에서의 전자 정보를 거래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 기술, 현재 암호화폐로 잘 알려져 있는 이 기술은 블록체인 기술로 탄생하였습니다.
블록체인 전문가는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을 실제 생활에서 편 의롭게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개선 및 보완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전문가가 되기 위해
컴퓨터 언어인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논리적으로 사고하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수리와 논리력을 갖추고 있다면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개발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지각력, 창의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논리적이며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고능력과 꼼꼼히 실수하지 않는 꼼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이 일을 하는데 유리합니다.
블록체인 전문가로 적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고등교육과정을 거치고 전문 학과에 들어가야 합니다. 관련된 학과는 사이버, 소프트웨어공학, 정보학, 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의 보급과 정보기술을 발전으로 인해 개인뿐만아니라 국가정보의 보안의 필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국가와 개인의 정보를 지키기 위해 보안기술을 개발하고 지켜나가는 일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잇습니다. 전문적인 인력과 개인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대학교에서는 디도스 공격, 전산망 해킹뿐만 아니라 무인자동차, 정찰용 드론에 이르기까지 정보 보안이 필요해지는 모든 곳에 적절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고교과정에서의 과학 수학 화학 물리학에 이르는 폭넓은 과정을 마치고 진로를 정한 젊은이들에게 꿈을 펼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으니 전문가가 되기 위한 꿈을 이루기 위해 도전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관련된 자격은 국방사업관리사, 정보보안기사, 산업보안관리사, 디지털포렌식전문가로 나뉘고 이와 같은 자격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은 IT관련 컨설팅, 국가사이버안전지킴이,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연구원과 군무원으로 일할 수 있고, 시스템 개발자, 정보보호전문가로의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기업이나 산업체, 학계나 연구기관, 정부와 같은 공공기간에서도 일을 맡아 할 수 있기에 많은 선택지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직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이야기, 비행기 조종사(Pilot) (0) | 2024.01.16 |
---|---|
직업이야기, 프로게이머 (0) | 2024.01.15 |
직업이야기, 보석감정사 (0) | 2024.01.14 |
직업이야기, 반려견 훈련사 (2) | 2024.01.13 |
직업이야기, 한국의 아이돌 (1) | 2024.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