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한국에서 아이돌이란 연예 기획사의 솔로, 그룹으로 활동하는 한류 열풍의 중심으로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다양한 팬들을 두고 한국을 알리는 역할을 하는 주역들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다.
본디 아이돌이라는 말이 나오기 전 세대에서는 하이틴 스타라고 하면 이해가 빠를지 모르겠다. 아이돌이라는 말은 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고 각종 매체에서 이 단어를 화두로 다루며 지금에 이르렀다. 가수로서의 활동뿐만이 아니라 예능 연기 뮤지컬 영화 등 다양한 활동 무대에서 활약하는 엔터테이너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연습생 문화로 각 기획사들의 전문 제작, 프로듀싱을 통해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수많은 연습생 가운데에서도 빛이 나는 사람들, 그들은 끼, 스타성, 매력, 실력 모두를 겸비한 스타 중에 스타이다.
아이돌이 되는 방법
아이돌이 되려는 많은 사람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 아이돌 가수가 되기까지 수없이 많은 인고의 시간을 견뎌야 한다. 기획사에 들어가서 연습생이 되기까지 수많은 오디션을 거쳐야 하고 자신의 성장 가능성과 스타성을 인정받아 연습생 생활을 시작하게 되면 데뷔가 있을 때까지 수많은 시간을 노력하고 평가받게 된다. 데뷔조로서의 역량을 갖추었다 판단되면 기획사는 이들을 데뷔시키기 위한 곡을 받고 연습을 시키며 녹음을 진행하여 앨범 작업에 매진하게 된다. 앨범이 나오고 드디어 이들은 매체에서 자신의 그룹이나 개인의 이름을 알리기 위한 첫 데뷔 무대를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잠깐 알아보는 연습생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매일매일 트레이닝을 회사에서 받고 집에 가는 연습생
- 합숙하며 트레이닝을 받는 연습생
- 따로 생활하며 실력을 연마하는 데뷔조 연습생
-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연습생
연습생 거치기
기획사에는 프로듀서가 생각하는 그룹의 이미지와 콘셉을 정하고 인원에 맞게 포지션을 갖추어 놓고 이 인원과 포지션에 부합하는 연습생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오디션을 통해 발굴하거나 현재 연습생으로 지내고 있는 인원 중에 뽑게 된다. 실력과 스타성을 갖춘 연습생들 가운데서도 데뷔조에서 조차 트레이닝과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최종 선발에서 당락이 결정된다. 이처럼 연습생, 데뷔조에서 선발된 인원들은 데뷔하면서 연예계 생활을 하게 되는데 다 같은 조건으로 활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룹 내 인원별 계약 조건이나 기간이 다를 수 있고 따라서 구성원이 바뀌게 되는 일도 있다. 그룹 내 멤버가 재계약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면 구성원이 바뀌는 문제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 그룹의 이미지로 이어온 활동에서 얼굴이 바뀌는 일은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니다. 수많은 팬들을 보유하고 있는 그룹에서의 멤버가 쌓아온 이미지를 잃는다는 것은 심각한 측면에서는 그룹을 잃는 것과 같은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철저하게 상업목적으로 기획사(기업)가 이러한 영향을 간과한 채 일을 진행하면 잃는 것이 더 많을 수 있을 것이다.
기획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면 포지션별로 연습생 선발이 끝났다는 이야기와 같다. 매일 경쟁과 연습을 하며 데뷔가 있을 때까지 끊임없는 반복생활에 접어든다. 프로듀서가 구상한 인원과 포지션에는 고유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멤버들이 필요하고 그 역할은 각기 다르다. 메인 보컬이나 메인래퍼를 필두로 서브 보컬이나 래퍼, 리드보컬, 메인댄서 등과 같이 팀을 구성하는 각 포지션별 역할이 있다는 것이다. 팀의 이미지를 구상하고 그에 맞는 음색과 밸런스를 갖추기 위해서 필요한 인재를 등용하는 것 연습생을 선발하는데 가장 어려운 일이라 생각된다. 팀이 결성되고 멤버를 구성하고서도 끊임없는 과제들이 등장한다. 멤버 간의 화합 성격차이를 이겨내는 것, 팀워크로 그들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성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것 등과 같은 일일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다 풀어내고 현재까지 왕성하게 활동하는 그룹들이 있다. 예로 신화, 슈퍼주니어 등이다.
곡을 받으려면?
데뷔조로 연습을 하던 중 녹음, 안무, 제작에 이르는 단계를 거치기 위한 계획을 마주한다면 아이돌로서의 첫 걸음을 내디딘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면, 노래는 어떻게 나오는 것일까? 프로듀서가 이미지를 그리고 그것을 현실화하기 위해 활동할 멤버들의 비주얼과 분위기를 맞춰내야 하기에 많은 인원들이 이들이 무대 위에서 이미지를 잘 그려낼 수 있도록 서포트한다. 스타일리스트 안무가 디렉터 등 많은 사람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며 아이디어를 낸다. 끊임없는 고민 속에 이미지가 만들어지면 곡작업을 해야 하는데 곡작업은 멤버 중에서 혹은 외국에서 또는 작곡가들의 곡을 받아서 진행된다. 작사 작곡을 통해 윤곽이 드러나면 가이드작업을 마쳐 곡을 현실화하고 그 현실화된 곡을 녹음하여 마스터링 순서로 진행을 이어간다. 타이틀 곡을 정하고 완벽한 결과물이 나올 때까지 몇 번이고 반복된다. 곡이 완성되면 동선이나 대형 등을 고심하여 안무를 만든다. 곡과 안무의 어우러짐이 완벽에 가까울정도로 음악의 큐싸인에 몸이 저절로 반응할 수 있을 정도로 완벽하게 피땀을 흘리며 몸에 각인시킨다.
아이돌 스케줄
데뷔 이후 아이돌은 각종 음악 방송, 예능 프로그램 등 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에 나가게 되며 인터넷을 통한 소통을 병행하는 등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이어가게 된다.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주 7일 내내 앨범 녹음, 뮤비촬영, 재킷 사진, 안무와 곡연습, 콘서트 준비, 음악방송, 사전녹화, 예능 프로그램 녹화, 화보, 인터뷰, 행사, 라디오, 팬미팅, 광고, CF, 시상식 등 열거만으로도 힘든 모든 활동을 이어간다.
'직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이야기, 보석감정사 (0) | 2024.01.14 |
---|---|
직업이야기, 반려견 훈련사 (2) | 2024.01.13 |
직업이야기, 전무이사 (1) | 2024.01.11 |
직업이야기, 성우 (0) | 2024.01.10 |
직업이야기, 스타강사 (1) | 2024.01.09 |